기독교 서적/마침내 드러난 하나님 나라-톰 라이트 썸네일형 리스트형 5. 우주의 미래: 진보인가, 절망인가? / 2부 하나님의 미래 계획 들어가는 말 초기 그리스도인들은 그 위대한 사건을 기뻐하며 회상했다. 그러나 하나님을 창조주이자 구속주로 믿는 자신들의 유대교 신앙 때문에 그리고 이 신앙이 예수님의 부활이라는 예기치 못했던 사건에서 확인되었기 때문에 그들은 부활절에 시작된 일이 완성될 앞으로의 사건 또한 간절히 기대했다. 이처럼 아직 미완으로 남아 있는, 미래의 회복이라는 더 큰 그림! 선택1: 진화론적 낙관주의 진보의 신화가 갖는 진짜 문제는, 내가 조금 전에 암시한 것처럼 그것이 악의 문제를 다룰 수가 없다는 것이다. 내가 ‘다룬다’는 말을 할 때는 그저 지적으로만 다루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물론 그것도 포함하지만-실제적으로 악을 다루는 것을 의미한다. 그 신화는 이 세상에 존재하는 심각한 악의 문제를 다룰 수가 없다. 그렇.. 더보기 4. 부활절의 특이한 이야기 / 1부 배경설정 선례가 없는 이야기들 A.D. 30년(혹은 그 때가 언제였건 그 해)의 예루살렘 사건도 표면적으로 여러 내용들이 불일치한다고 해서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것은 아니다. 그러한 불일치는 오히려 무언가 놀라운 일이 일어났음을 짐작케 하는 합리적인 징조다. 너무도 놀란 나머지, 그 사건의 첫 목격자들은 서로 다른 이야기들을 들려 줄 정도로 당황했던 것이다. (1) 첫째, 우리는 사복음서 이야기에서 이상하게도 성경이 침묵하고 있는 것을 보게 된다. 부활 내러티브에는 두 개의 작은 예외만을 빼면 그러한 인용이 거의 없다. 이것이 더 놀라운 이유는, 바울이 활동하던 시기부터 일찌감치 공동의 신경에서는 부활도 ‘성경에 기록된 대로’ 일어난 일임을 선언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바울 자신도 다른 초대교회 교인들처럼.. 더보기 3. 역사적 배경에서 살펴본초기 그리스도인들의 희망 / 1부 배경설정 들어가는 말 고대 이교주의와 유대교에서 바라본 부활과 죽음 이후의 삶 ‘부활’은 ‘죽음 이후의 삶’이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건 간에 그것이 있고 난 이후에 오는 새로운 육체적 삶을 의미하는 단어였다. (모든 이교도들이 그랬던 것처럼) 부활을 부인하기 위해서든, (일부 유대인들이 그랬던 것처럼) 부활을 지지하기 위해서든, 고대인들이 부활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는 그것을 두 단계로 보았는데, 육체적 죽음이라고 하는 중간 단계의 시기가 먼저 오고 그 이후에 새로운 육체적 생명을 의미하는 부활이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부활’은 죽음 직후에 사람들이 들어가는 상태를 극적으로 혹은 생생하게 표현하는 말이 아니었다. 그것은 죽음 이후에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고 나서 일어날 수 있는-비록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런 일은 일.. 더보기 2. 낙원에 대해 혼란스러워하다? / 1부 배경설정 희망에 대한 그리스도인들의 혼란 그리스도인에게 있어서 죽음은 짓밟힌 적이다. 더 이상 죽음은 없을 것이다. 앞으로 살펴보겠지만, 던은 신약성경의 핵심적 신앙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을 포착했다. 즉 마지막에 가서는 죽음이 그냥 새롭게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정복된다는 것이다. 죽음이 우리에게 자기 마음대로 행하도록 내버려 두는 것은 하나님의 뜻이 아니다. 그저 불멸의 영혼이 필멸의 육체를 두고 떠나오는 것이 우리에게 약속된 궁극적 미래라면, 여전히 죽음이 다스리는 것이 된다. 왜냐하면 그것은 죽음의 패배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죽음을 어느 각도에서 보느냐에 따른 설명의 차이에 불과할 것이기 때문이다. 죽음은 대단한 적이지만, 그것은 정복되었고 결국에는 온전하게 다 정복될 것이다. 어떠한 선택들이 가능한가? .. 더보기 1. 잘 차려 입었는데 갈 곳이 없다? / 1부 배경설정 들어가는 말 첫 번째는 “기독교의 궁극적인 희망은 무엇인가?”이다. 두 번째는 “현재 세계 안에서의 변화, 구출, 변혁, 새로운 가능성에 대해서는 어떤 희망이 있는가?”이다. ‘기독교의 희망’이 하나님의 새로운 창조, 즉 ‘새 하늘과 새 땅’(new heavens and new earth)을 바라는 희망이라면, 그리고 그 희망이 나사렛 예수 안에서 이미 실현이 되었다면, 이 두 질문을 서로 연결시킬 이유는 충분하고도 남는다. 그리고 만약 그것이 사실이라면, 하나의 질문에 답하는 것은 또 다른 하나의 질문에 답하는 것이 됨을 알게 된다. 하나님과, 이 우주를 향한 하나님의 뜻, 그리고 그 뜻을 이루기 위해 그분이 이미 하고 계시는 일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바로잡아야 하는 문제다. 희망에 대한 혼란: 교회 .. 더보기 서문 죽음과 그 이후의 문제에 대한 기독교의 표준적 답변을 제시할 것이다. 그 답변은 교회가 회복해야 할 부분이라고 내가 생각하는 바이기도 하다.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