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42:1 욥이 여호와께 대답하여 이르되 2 주께서는 못 하실 일이 없사오며 무슨 계획이든지 못 이루실 것이 없는 줄 아오니 3 무지한 말로 이치를 가리는 자가 누구니이까 나는 깨닫지도 못한 일을 말하였고 스스로 알 수도 없고 헤아리기도 어려운 일을 말하였나이다 4 내가 말하겠사오니 주는 들으시고 내가 주께 묻겠사오니 주여 내게 알게 하옵소서 5 내가 주께 대하여 귀로 듣기만 하였사오나 이제는 눈으로 주를 뵈옵나이다 6 그러므로 내가 스스로 거두어들이고 티끌과 재 가운데에서 회개하나이다 (욥 42:1-6)
비로소 한계를 넘어서다
욥이나 세 친구는 다 인과응보라는 법칙 아래에 묶여 있는 신앙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이 등장하셔서 우리가 볼 때 필요 없고 잘못되었다고 생각하는 일들, 예를 들어 낮과 밤에서는 밤, 형통과 고난에서는 고난, 의와 불의에서는 불의, 성공과 실패에서는 실패와 같은 것들이 하나님의 통치 안에서는 없어야 하는 것들이 아니라고 하십니다. 이런 것들이 이분법으로 나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쓸데없는 일이라고 생각하거나 억울하다고 생각했던 일들, 필요 없다고 생각했던 일들이 하나님의 뜻에서 벗어나 있는 일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하나님의 의로우심과 선하심으로 그 모든 것을 만들었고, 제어하고 계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에게 생기는 고난이나 어려움이나 한계는 우리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우리로 어딘가를 뛰어넘게 하시는 것이라고 가르칩니다. 욥에게서 “그렇습니다. 하나님은 못하실 일이 없으십니다”라는 고백을 받아 내십니다. 하나님의 답변을 통해 비로소 욥이 자신의 이해와 자신의 확인이라는 닫힌 방을 열어젖히게 된 것입니다.
‘진심은 있으나 능력이 없는 것까지 아시지 않습니까? 그러니 제가 고백한 자리에까지 가도록 주께서 저를 붙들어 주셔야 한다는 것을 주께서도 알고 저도 이제 압니다’라고 하는 데까지 이어집니다.
욥이 이제까지 이해하고 확인하고 상상했던 세계를 하나님과의 만남을 통해 넘어섭니다.
‘하나님은 무소부재하시며 전지전능하십니다. 그러니 나를 붙잡아 내가 겪은 한계와 무지했던 모든 것을 합하여 주께서 선을 이루어 주시지 않는다면 우리에게는 답이 없습니다.’
우리를 몰아가시는 하나님
‘내가 나를 가리켜 맹세하노니 네가 순종했기 때문이 아니라 네가 이 어려움을 지나 네 한계를 넘어왔으니 이제 분명히 하자. 내가 나를 가리켜 맹세하여 이 일을 이룰 것임을 너에게 분명히 선언하노라.’ 욥이 깨달았습니다. ‘하나님은 제 생각보다 크십니다. 제가 당한 고난은 손해가 아닙니다. 억울한 일이 아닙니다. 하나님이 하마와 악어를 만드셨고 저들의 삶을 기뻐하시고 온 창조물을 좋게 여기시는 것같이 제게 일어난 어떤 일도 하나님의 선하심과 약속에서 벗어난 것은 없습니다. 그것은 하나님만이 하시는 일이고, 하나님만이 하실 수 있는 일이고 그러기를 바라기에 이제 제가 회개합니다.’ 이것이 욥의 답입니다.
하나님은 무소부재하시며 전지전능하십니다. 이런 자리까지 가는 까닭에 같은 자리에 있을 수 없는 것들이 함께 묶이게 됩니다.
하나님이 주시는 것을 받는 자리
‘이 낮아진 자리, 이 고난의 자리에서 다시 일어섭니다. 하나님의 통치와 선하신 뜻 아래서는 헛된 것도 몹쓸 것도 없습니다. 모든 것이 가치 있습니다. 티끌과 재도 가치 있습니다. 제가 그 자리에서 일어설 수 있습니다. 제가 티끌이고 재에 불과하다고 하더라도 상관없습니다. 일어서겠습니다. 왜냐면 하나님은 창조주시기 때문입니다.’ 이런 고백이 터져 나옵니다.
욥은 ‘내가 이 자리에서 일어설 뿐만 아니라 하나님이 이것으로써 일하시는 것을 인정합니다’라고 하는 데까지 나아갑니다. 예수님이 가신 십자가의 길을 예수님의 영광을 만들어 내는 길로 확인하기 때문입니다. 십자가와 죽음은 억울한 것처럼 보입니다. 창조주가 피조물에 의하여 모욕당하고 저들의 결정대로 자신을 맡겨 저들의 손에 넘겨져 죽습니다. 그러나 그것으로 부활을 만들어 냈으므로 기독교인에게는 겁날 것이 없습니다. 성경 어디에서나 발견되는 공통된 강조입니다.
나에게 생기는 억울한 일뿐만이 아니라 나의 부족한 것까지 쓰셔서 하나님이 나를 만드십니다. 그래서 예수께서 인간으로 오시는 것입니다. 죽을 수 있는 연약한 자리에 오시는 것입니다. 티끌과 재 가운데서 일어나시는 것입니다. “티끌과 재로 살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고백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어린아이와 젖먹이들로 일하신답니다. 하나님의 팔로 하십니다. 하나님이 어린아이와 젖먹이의 입으로 권능을 세우실 것입니다.
자기가 아는 것, 자기가 할 수 있는 것이 전부인 세계와 하나님이 만드시고 승리를 주시는 부활 세계의 대조입니다. 하나님이 주시는 것을 받는 자와 자기가 만든 세계에 갇힌 자를 대조하고 있습니다.
“티끌과 재 가운데서도 회개하나이다. 아니, 티끌과 재를 뒤집어써도 좋습니다.” 주님의 죽으심과 주님이 받은 모욕과 수치와 고난을 생각해 보십시오. 욥의 의문이 여기에 와서 풀리는 것입니다.
욥은 그 길을 가면서 자신이 하나님의 일하심의 동반자로 부름받은 자라는 것을 깨닫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동반자
산 염소와 들나귀 등이 등장할 때에 이 창조 세계에서 욥은 하나님 옆에 서 있는 손님 같았습니다. 손님이란 대접을 받고 있는 입장을 말합니다. 하나님이 욥을 손님으로 대접하시는 것입니다. ‘너는 피조물이지만 너는 내 자식으로 세움을 받고 나와 함께 이 세상을 다스리도록 부름받았으니 너는 저들과 다르다’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통치가 얼마나 큰지를 보여 주십니다. 옳고 그른 것이 전부가 아니고 이분법의 나라가 아닌, 하나님의 권능과 지혜와 선하심과 능력의 통치를 보여 주십니다.
왜 그런 일을 보여 주십니까? 욥을 통치자의 자리로 부르시기 때문입니다. 그러자 욥이 ‘무지한 말로 이치를 가리는 자가 누구입니까? 주께서는 무소부재하시고 전지전능하시니 주께서 못하실 일이 없습니다. 나를 붙드소서’라는 고백을 합니다. 이런 고백을 우리는 자유라고 합니다. 자신의 선택이라고 합니다. 강요받는 것이 아니라 납득하는 것입니다. 스스로 자원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욥에게 그것을 요구했던 것입니다.
‘하나님을 섬기는 일에 고난당하고 고난으로 하나님을 섬기는 것, 고난으로 온전해지는 것을 욥기는 증언한다.’
하늘에 선포된 어떤 개념, 주장, 권면이 아니라 구체적인 한 개인의 인생 속에서 확인합니다. 예수께서 실제로 십자가를 지고 죽으시는 인생을 사셔서 우리 모두를 끌어안으신 것처럼 우리 모두는 그의 역사적 실존 속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그 넓은 포옹을 예수의 성육신과 고난과 죽음에서 보듯이 욥기의 생애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젠슨은 계속해서 이렇게 말합니다. ‘창조에 나타난 질서와 자유의 변증법에 인간이 참여하는 것을 보여 주는 행위를 수반한다고 욥기는 증언한다.’ 욥에게 자유란 무엇입니까? 하나님이 강요하거나 조작하지 않고 욥을 불러 단련하여 인간의 가치가 뭐냐, 하나님을 찾는다는 것이 무슨 뜻이냐, 하나님을 안다는 것이 무슨 뜻이냐고 다그쳐 물으셨습니다. 이 답을 들으실 때까지 포기하거나 타협하지 않으십니다. 우리 모두는 욥입니다. 그래서 신자의 인생은 고단할 수밖에 없습니다. 다른 것으로 대신하거나 스스로를 속일 수 없습니다. 하나님 앞에서 그분의 사랑을 받는 자로 일어서기까지 하나님은 포기하지 않으십니다.
우리라는 인생과 존재의 가치도 쉽게 타협할 것이 아니라고 하십니다.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을 받아 티끌과 재가 될 수 있지만 그것이 하나님의 창조와 권능에 의한 자리인 것을 깨닫게 하셔서 높고 낮고, 좋아하고 싫어하고를 초월하는 하나님의 통치에 항복하게 하십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한 독립된 인격으로 지으시고 하나님의 명예를 부여하시고 그의 통치의 동반자로 부르셨다는 사실을 깨우쳐 주십니다. 이러한 하나님의 간섭과 신자들의 확인과 실제적인 성숙과 우리의 자유로운 선택, 즉 기쁜 책임이 욥기의 결론이며 증언입니다.
'기독교 서적 > 박영선의 욥기 설교-박영선 목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4. 고난_ 세상과 다른 기독교의 길 (0) | 2021.03.17 |
---|---|
33. 고난_하나님의 축복 (0) | 2021.03.16 |
31. 하나님_너는 그들을 다스릴 자다 (0) | 2021.03.16 |
30. 하나님_네가 모두를 이길 수 있느냐 (0) | 2021.03.15 |
29. 하나님_ 너는 내 자녀니라 (0) | 2021.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