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상스
대략 1350- 1650년
고전주의(고전 탐구)- " 근원으로 돌아가자"
인본주의- 인간을 신격화시킨 현대의 세속적 인본주의가 아니라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인간에 대한 진지한 기독교적 관심을 반영한 인본주의.
![](https://blog.kakaocdn.net/dn/MQlSY/btqQR6Pi3Ew/pJ5Pk1aqsl6qNTVRxw8KJ0/img.jpg)
종교 개혁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
![](https://blog.kakaocdn.net/dn/oqx2D/btqQH9UySH3/ppKPJgLkFyo9hbkhamPYm1/img.jpg)
존 칼빈(John Calvin, 1509-64)
코넬리우스 반틸의 "초월적인 신 존재 증명 "
![](https://blog.kakaocdn.net/dn/8naxv/btqQKuDHOTx/YBW0QbXdOwtu0OaRmkvnG1/img.jpg)
종교 개혁 이후의 개신교
개신교 스콜라주의
개신교 경건주의
세속 철학의 부활
대륙의 합리론
합리주의와 경험주의
1600-1800년
최초의 합리주의자인 데카르트가 최초의 "현대 철학자" 로 알려져 있음.
르네 데카르트( Rene Descartes, 1596-1650)
자신의 주관적인 의식을 진리의 궁극적 판단 기준으로 삼음.
데카르트에게 이성의 시작, 곧 이성의 전제는 주관적인 확실성( 우리가 생각한다는 것)이었다. 자의식은 생득적 개념이다.
자율적인 이성에 근거한 철학 탄생!
가장 뛰어난 철학자들은 대부분 생각을 하나님의 계시에 복종시킴으로써가 아니라 자율적인 생각을 통해 철학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
바뤼흐 (베네딕트) 스피노자(Baruch [Benedict] Spinoza, 1634-77)
성경적인 기독교는 합리주의적인 탐구를 거부하다. 그 이유는 합리주의가 세상에 대한 궁극적이고, 합리적인 이해를 추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경은 오직 하나님을 통해서만 그런 이해가 가능하다고 가르친다.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Gottfried Wilhelm Leibniz, 1646-1716)
원자론자.
세상에서 가장 작은 존재는 정신이라고 주장.
원자론적 관념론자.
"모나드(momad, 단자)"
영국의 경험주의
토머스 홉스( Thomas Hobbes, 1588,1679)
" 사회 계약설"
이성의 자율성.
존 로크(John Locke, 1632-1704)
경험론적 전통을 세운 최초의 인물.
성경적인 철학은 제3의 길(형이상학이 인식론을 앞서지도 않고, 인식론이 형이상학을 앞서지도 않는다는 것)을 취한다. 형이상학과 인식론은 서로에게 똑같이 영향을 미친다. 성경적인 인식론은 성경적인 형이상학을 전제하고, 성경적인 형이상학은 성경적인 인식론을 전제한다. 그 둘의 통합은 인간의 삶보다 우위에 서서 온전한 세계관을 제시하는 하나님의 계시를 통해 이루어진다.
로크를 비롯한 경험을자들은 지식을 우리의 개념( 즉 생각의 내용)에 관한 지식으로 간주했다. 경험론자들은 "직접적인 현실주의''를 주장하지 않는다. 그 전은 대다수의 과학자들도 마찬가지다. 그들은 세상에 대한 우리의 지식이 우리의 정신적 기능에 의해 중재된다고 생각한다.
로크는 개념들에 관한 연구를 부정에서부터 출발했다.
미지의 실체( "내가 알지 못하는 어떤 것")
"양도할 수 없는 인간의 권리"
미국 혁명은 주로 로크의 사상에 근거해 이루어졌다.
미국 독립 선언문은 인간의 권리가 경험이 아닌 하나님에게서 비롯한 것으로 천명한다.
조지 버클리( George Berkeley, 1685-1753)
"존재하는 것은 지각되는 것이다. "
관념론( 세상은 곧 생각이라는 신념)
주관적인 관념론자
버클리는 세상이 기능하려면 제1원인(로크), 진리의 보증인(데카르트), 비인격적인 세상의 체계(스피노자), 우주의 회계원(라이프니츠)만이 아니라 생각과 생각으로 우리와 의사를 소통하는 인격체가 필요하다고 인지했다.
그러나 버클리의 철학은 하나님으로부터 시작하지 않는다. 그의 철학도 데카르트와 로크처럼 자기 안에 갇힌 상태에서 자신의 개념들을 자율적으로 생각하는 인간에게서부터 시작한다. 결과적으로 버클리는 하나님을 자신의 감각과 성찰의 결과물로 생각했다.
데이비드 흄(David Hume, 1711-76)
흄의 철학을 통해 경험주의 전통은 회의주의로 기울었다.
![](https://blog.kakaocdn.net/dn/J97Jh/btqRt5vSxV7/dK9K8C1umwZujSf0UVD1D1/img.jpg)
요약
![](https://blog.kakaocdn.net/dn/cWEhiX/btqRx0t3yHS/4InVoRoBK2q1lxnvlYodsK/img.jpg)
1650-1800년은 때로 "계몽주의" 또는 "이성의 시대"로 불린다. 당시의 철학은 성경의 세계관을 거부하고, 인간의 자율적인 생각을 받아들였다.
'기독교 서적 > 서양 철학과 신학의 역사-존 프레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장. 칸트와 그의 계승자들 (0) | 2020.12.30 |
---|---|
6장 계몽주의 시대의 신학 (0) | 2020.12.27 |
4장. 중세 철학 (0) | 2020.12.20 |
3장 초기 기독교 철학 (0) | 2020.12.15 |
2장 헬라 철학 (0) | 2020.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