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독교 서적/서양 철학과 신학의 역사-존 프레임

10장. 20세기 자유주의 신학 1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위기 신학
말씀의 신학
신정통주의
변증신학
실존주의 철학에 영향을 받은 흔적을 분명하게 드러냄.
새로운 신학 운동이 실존주의 철학에 비견되는 주된 이유는 구원의 사건들이 과학이나 "객관적인" 사고를 통해 알 수 있는 영역과 날카롭게 대조되는 영역에서 일어난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바르트주의

칼 바르트(Karl Barth, 1886-1968)

보수주의로 간주되기를 원하면서도 지성의 중심지인 대학교와 자유주의 교단 내에 머물러 있기를 원하는 설교자와 신학자들을 위한 전형을 세움.
보수적 흐름(보수적인 용어를 사용해 자신들의 명분을 발전시켜 나가기를 원하는 자유주의 사상가들의 영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
히틀러에 반대하는 "고백교회"의 설립을 주도.
"바르멘 선언문(오직 그리스도만이 주님이시며, 교회는 그 외의 어떤 것도 주로 섬겨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 고백교회의 설립 선언문)"의 작성을 주관.
바르트는 2차 세계 대전의 기독교 영웅들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런 그가 전쟁이 끝난 뒤에 소련의 득세와 교회에 대한 박해에 대해서는 그런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는 것은 조금 당혹스럽다.
슐라이에르마허와 리츨 학파가 포함된 ''신(新)개신교주의(현대주의)''를 강하게 비판.

바르트는 계시와 성령의 조명을 혼동했다는 비판을 종종 받는다. 조명은 객관적인 계시에 대한 조명이다.
극단적 유명론
행동주의(또는 현실주의)
위르겐 몰트만과 볼프하르트 판텐베르크의 "미래 지향적인" 신학의 출현을 예고.
바르트에 따르면, 성경은 그 자체로는 아무런 권위가 없다. 성경은 그리스도를 가리키는 역할을 했던 세례 요한과 같다.
바르트는 성경이 자연과 역사와 관련된 내용은 물론 "종교와 신학에 관해서도" 오류를 포함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변증 신학

성령께서는 말씀을 증언하시기 때문에 신학자는 자신의 행위와 태도를 하나님이 성경을 통해 가르치신 것에 비춰봐야 한다.

하나님에 관한 진리는 명제적 형태로 진술될 수 없다는 것은 자유주의 신학의 역사 속에 나타나는 중요한 주제 가운데 하나다.


 

 성경에 따르면 죄는 인격적인 불순종이다. ·


에밀 브룬너(Emil Brunner, 1889-1966)

인격주의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 1884-1976)

바르트의 전성기 이후에 나타난 모든 형태의 자유주의 신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침.

양식 비평

자유주의적인 성경관(확실한 증거가 없는 한 성경을 신뢰할 수 없다는 입장)을 전제한다.
철저 종말론(예수님이 종말의 임박을 잘못 선포하셨다는 견해)을 따름.

비신화화

신화 없이 복음을 나타내는 것.

실존적 분석

비본래적 실존
본래적 실존


폴 틸리히(Paul Tillich, 1886-1965)

상관관계의 방법
부적절한 방법

성경의 무오성을 거부하고, 과겨의 역사적 사건들을 구원의 근거로 인정하지 않는다.

디트리히 본훼퍼(Dietrich Bonhoeffer, 1906-45)

새로운 해석학

교파적 논쟁과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자유주의 운동을 지칭할 때 사용된다.

새로운 탐구

구속사

기독교적 무신론

세속화 신학

하트포드 선언